효공왕(孝恭王, ? ~ 912년 4월, 재위: 897년 음력 6월 1일 ~ 912년 4월)은 신라의 제52대 왕이다. 성은 김(金)씨, 이름은 요(嶢)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아버지는 헌강왕(효공왕 김요는 헌강왕의 서자)이고, 어머니는 의명왕태후(義明王太后) 또는 문자왕후(文資王后)로 추존된 후궁 김씨이다. 왕후는 이찬을 지낸 박예겸(朴乂謙)의 딸이다.
효공왕 김요(孝恭王 金嶢)의 고모이자 前 신라 군주 진성여왕은 897년 음력 6월 1일 신하들에게 “근년에 백성들이 굶주리고, 도적이 일어나는데, 이는 내가 덕(德)이 없는 까닭이다. 이제 숨어 있는 어진 자에게 왕위를 넘겨주기로 나의 뜻이 결정 되었노라” 라고 말하면서 왕위를 이제 아직 어린 왕위계승자 김요(金嶢)에게 선양(禪讓)하고 퇴위한지 6개월 후인 897년 12월 31일에 붕어하였다.
897년 음력 6월 1일부터 912년 4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897년 음력 6월 1일부터 904년까지 이찬 준흥(俊興)이 섭정을 하였다가 904년부터 912년 4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을 하였다.
생애
897년 음력 6월 1일, 효공왕은 왕위에 올랐지만 신라는 후삼국 시대로 돌입하였고, 그 중에서도 완산에서 세력을 늘리고 있던 후백제의 견훤이나 후고구려의 궁예등의 세력이 급격하게 영토를 빼앗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892년에 견훤이, 901년에 궁예가 왕을 자칭했다. 효공왕은, 그들에게 대항하지 못하고 주색에 빠져 신라의 영토는 나날이 쇠약해져서 신라는 멸망의 길을 가게 된다.
보위에 등극한지 15년 뒤인 912년 4월에 붕어하자 손윗처남이자 이복 자형인 박경휘가 신라 신덕왕으로 뒤를 이었다.
가계
- 부왕 : 헌강왕(憲康王)
- 모후 : 의명왕태후(義明王太后), 문자왕후(文資王后) 김씨
- 손윗처남이자 이복 자형: 신덕왕 박경휘 (神德王 朴景暉)
- 왕후 : 왕후 박씨 - 이찬 박예겸(朴乂謙)의 딸